이사는 손 없는 날에 대장군 방위와 삼살 방위를 피해야 합니다. 이사를 잘못 가면 우환이 생길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좋지 않은 일이 생기면, 사람들은 이사를 했느냐, 집수리를 했느냐, 산소를 건드렸느냐는 질문을 하곤 합니다. 모든 일은 끼워 맞추면 교묘하게 맞아떨어지는 경우가 많음을 알면서도, 좋지 않은 일이 생길까봐 이사를 앞두고 늘 노심초사하게 됩니다.
여기 어렵지 않은 비방을 소개합니다. 이사를 할 때, 이삿짐을 보낸 후, 가족들은 승용차에 타고 이사 가는 방향으로 1킬로 이상 더 갔다가 돌아오면 됩니다. 그렇게 하면 모든 방향의 길운을 다 안고 이사를 가게 되므로, 이 방법은 부적보다 더 강한 효력이 있다고 알려주신 분께 감사드립니다.
민속신앙에서 ‘손’이란 날수[日數]에 따라 동서남북 방위를 순행하며 다니면서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사람에게 해코지한다는 귀신을 부르는 말로 ‘손님’을 줄여 불렀습니다. 손 방위는 날짜에 따라 귀신이 있는 방향이 다르다. 우리 조상들은 손 없는 날뿐만 아니라, 방위를 헤아려서 손 있는 날짜를 피해 좋은 날을 택했습니다.
예부터 악귀, 악신이 움직이는 날이 손 있는 날이라고 믿었습니다. 손 방위에 따라 손실, 손해, 재앙이 따른다고 전해졌습니다.
• 정동 방위에 손 있는 날은 음력 1. 11. 21일입니다.
• 동남 방위에 손 있는 날은 음력 2. 12. 22일입니다.
• 정남 방위에 손 있는 날은 음력 3. 13. 23일입니다.
• 남서 방위에 손 있는 날은 음력 4. 14. 24일입니다.
• 정서 방위에 손 있는 날은 음력 5. 15. 25일입니다.
• 서북 방위에 손 있는 날은 음력 6. 16. 26일입니다.
• 정북 방위에 손 있는 날은 음력 7. 17. 27일입니다.
• 북동 방위에 손 있는 날은 음력 8. 18. 28일입니다.
• 중앙 방위에 손 있는 날은 음력 9. 19. 29일입니다. ⇒ 아무 방향이나 길하다고 합니다.
• 하늘에 손 있는 날은 음력 10. 20. 30일입니다. ⇒ 아무 방향이나 길하다고 합니다.
음력 1월과 2월에는 동쪽, 3월과 4월에는 남쪽, 5월과 6월에는 서쪽, 7월과 8월에는 북쪽에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귀신인 **‘손’(損)**이 있다고 전해집니다.
이 귀신은 음력 9월과 10월 즉, 음력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에는 하늘로 올라간다고 하여 손이 없는 날이라 부릅니다.
손 없는 날은 이사하거나 먼 길을 떠날 때, 집을 수리하거나 사업장을 개업할 때, 또는 각종 행사를 진행하는 데에 좋은 날로 삼고 있습니다.
**대장군(大將軍)**이란 죽음의 세계에서 근위대를 관장하는 군신을 의미합니다. 이 방위를 범하게 되면 여러 재앙이 따른다고 전해집니다.
대장군 방위는 3년마다 시계방향으로 이동합니다. 원래는 양택보다는 묘지를 쓰거나, 집수리, 건물 신축 및 개축 등의 토석을 다루는 음택에서 많이 활용되었습니다. 현재는 이사, 묘지 이장, 수리, 증축, 개업, 출장, 이동 등 여러 변화와 변동 시에 피해야 할 방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득이하게 대장군 방향으로 이동해야 할 경우, 바로 해당 방향으로 가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우회한 후, 다리를 건넌 뒤에 대장군 방향으로 이동하면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고 전해집니다.
대장군 방위 정리
• 亥子丑년(돼지, 쥐, 소 해):
→ 酉(서쪽) 방향이 대장군입니다.
→ 해, 자, 축은 **합수(合水)**로 북쪽 방향에 속하므로, 그 뒤쪽인 서쪽이 대장군 방향입니다.
• 寅卯辰년(범, 토끼, 용 해):
→ 子(북쪽) 방향이 대장군입니다.
→ 인, 묘, 진은 **합목(合木)**으로 동쪽 방향에 속하므로, 그 뒤쪽인 북쪽이 대장군 방향입니다.
• 巳午未년(뱀, 말, 양 해):
→ 卯(동쪽) 방향이 대장군입니다.
→ 사, 오, 미는 **합화(合火)**로 남쪽 방향에 속하므로, 그 뒤쪽인 동쪽이 대장군 방향입니다.
대장군 방위는 2007년부터 3년 단위로 순환하며 이동합니다.
• 2007~2009년: 서쪽이 대장군 방위입니다.
• 2010~2012년: 북쪽이 대장군 방위입니다.
• 2013~2015년: 동쪽이 대장군 방위입니다.
• 2016~2018년: 남쪽이 대장군 방위입니다.
이처럼 대장군 방위는 한 방향에 3년간 머문 뒤 시계방향으로 순환합니다.
삼살(三殺) 방위는 **1년에 한 번씩 시계 반대 방향(역행)**으로 이동합니다. 삼살이란 겁살(劫煞), 재살(災殺), **천살(天殺)**의 세 가지 살을 의미합니다.
• 겁살은 목숨과 재산을 잃는 흉살입니다.
• 재살은 관재, 감금, 납치, 재판 등의 화를 부르는 살입니다.
• 천살은 천재지변으로 인한 피해를 입는 살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삼살 방위는 매우 주의해야 하며, 이사, 산소 손질, 집수리, 건축, 개업 등의 행위를 삼살 방위 방향에서 피하는 것이 좋다고 여겨집니다.
삼살 방위 기준
• 寅午戌년과 일(범, 말, 개 해 및 날) : → **亥子丑 방향(북쪽)**이 삼살 방위입니다.
• 亥卯未년과 일(돼지, 토끼, 양 해 및 날) : → **申酉戌 방향(서쪽)**이 삼살 방위입니다.
• 申子辰년과 일(원숭이, 쥐, 용 해 및 날) : → **巳午未 방향(남쪽)**이 삼살 방위입니다.
• 巳酉丑년과 일(뱀, 닭, 소 해 및 날) : → **寅卯辰 방향(동쪽)**이 삼살 방위입니다.
삼살 방위는 매년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최근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10년: 북쪽이 삼살 방위입니다.
• 2011년: 서쪽이 삼살 방위입니다.
• 2012년: 남쪽이 삼살 방위입니다.
• 2013년: 동쪽이 삼살 방위입니다.
이처럼 삼살 방위는 해마다 한 방향씩 역순으로 바뀌며, 해당 방위에서의 큰 변화나 움직임은 피하는 것이 길하다고 여겨집니다.
※ 대장군 방위와 삼살 방위는 기본적으로 동·서·남·북의 네 방위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그러나 실제 이사를 하게 될 경우에는 동북, 동남, 서북, 서남과 같은 사방(斜方)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방위를 지나치게 구체적으로 따지지 않아도 된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일부 역학 연구자들은 실생활에서는 방위보다 시기와 마음가짐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사를 할 때는 먼저 집주인의 띠, 즉 생년을 기준으로 하여 신살(神煞)의 방위를 참고하게 됩니다. 각 띠에 따라 불리하거나 유리한 방향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이사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대체로 **팔괘(八卦)**에 따라 ‘건(乾), 손(巽), 간(艮), 곤(坤)’의 네 방위를 기준으로 이사를 하게 됩니다.
• 서북방(건방, 乾方) : 술(戌), 해(亥)
• 동남방(손방, 巽方) : 진(辰), 사(巳)
• 동북방(간방, 艮方) : 축(丑), 인(寅)
• 서남방(곤방, 坤方) : 미(未), 신(申)
이러한 팔괘 방위와 띠의 관계를 통해, 보다 길하고 안정적인 방향으로의 이사가 가능하다고 여겨졌습니다. 이사는 단순한 이동이 아닌 삶의 운을 바꾸는 중요한 변화이므로, 전통적으로는 이러한 신살 방위를 중요한 판단 기준으로 삼았습니다.